요즘의 취미 - 터미널?

아니, 정말로요. 빈 말이 아니고요.
만약에 요즘에 누군가와 사교적인 말하기를 하다가 취미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는다면,
요즘 터미널 꾸미는 것에 빠져있어요.
라고 대답할 것 같아요.
아니, 정말로요. 빈 말이 아니고요.
만약에 요즘에 누군가와 사교적인 말하기를 하다가 취미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는다면,
요즘 터미널 꾸미는 것에 빠져있어요.
라고 대답할 것 같아요.
회사에서 빌드머신으로 사용중인 맥미니 장비들은 주기적으로 몇가지 관리가 필요하다.
최근에 유니티6로 엔진 업데이트한 이후 빌드머신에 갖가지 이슈들이 생기면서 디스크 용량 체크를 해보던 중이었다.
이거 코드 작업 조금만 하면 만들 수 있겠다
는 생각이 들었고, 미루면 아마 영영 실천으로 옮기지 않게 될 것 같아 생각난 김에 바로 만들었다.
C#에서 메서드를 정의할 때 in
키워드를 사용하면 call by value 가 아닌 call by reference로 동작하게 만들어줍니다. 그래서 주로 구조체(value type)를 복사 없이 참조로 넘길 때 유용하지요.
참조 타입의 매개변수에 in 키워드를 쓰는 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? generic parameter를 정의할 때도 in 키워드가 붙는 경우도 있던데 어떤 의미일까요?
이참에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.
github actions 그거 뭐 별거냐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었다.
근데 조금 들여다보니 자유도가 꽤나 높아서, 사람들이 정말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흥미가 생겼다.
모바일에서 볼 때 왼쪽같이 보이던 페이지를 오른쪽처럼 변경했다. 지금은 블록 여백 등도 조금 더 정리해서 일단락 지었다. 실제 페이지는 https://leafbird.github.io 에서 확인 가능하다.